사랑에 목매는 재스민 사라지고 왕이 되고픈 신념의 공주로 진화

김인구 기자 입력 2019. 6. 18. 10:40 수정 2019. 6. 18. 14: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오미 스콧이 연기한 ‘알라딘’ 영화 속 재스민 공주는 여성에 관한 해묵은 편견을 뛰어넘어 자신의 주장을 당당히 밝히고 관철하는 능동적 캐릭터로 묘사되고 있다.
애니메이션 ‘알라딘’의 재스민 공주.

실사 영화 ‘알라딘’ 500만명 돌파 흥행 뒷심… 1992년 애니와 다른 점

미모·품위·씩씩함은 그대로

애니에 없던 ‘스피치리스’ 노래

가사에 확실한‘자기 주장’ 담아

진취적·능동적 인물로 그려져

월트디즈니 “시대 대변 여성상”

애니메이션 실사 영화 ‘알라딘’의 뒷심이 무섭다. 17일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알라딘’은 주말(15∼16일) 동안 84만1294명을 끌어모아 개봉 4주차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고, 누적 관객 532만5956명으로 ‘미녀와 야수’(2017·513만 명)를 넘어 ‘겨울왕국’(2013·1030만 명)과 ‘레미제라블’(2012·592만 명) 이어 국내 개봉한 뮤지컬 영화 중 역대 흥행 순위 3위에 올랐다. 그야말로 ‘역주행 흥행’이다.

1992년 개봉된 애니메이션의 재탕쯤으로 보였던 ‘알라딘’이 27년의 세월을 넘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천일야화’에 근거한 아름답고 신비한 이야기, 주인공 알라딘과 램프 요정 지니의 활약이 여전하지만 여주인공 ‘재스민 공주’의 변신이 크게 한몫한 덕분으로 풀이된다.

인도계 영국 배우 나오미 스콧이 연기한 재스민 공주는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처럼 호기심 많고 사랑스러운 캐릭터다. 하지만 영화의 재스민 공주에겐 애니메이션의 재스민에게 없는 게 하나 더 있다. 바로 스스로 왕이 돼 선정(善政)을 펼치고 싶다는 강한 의지다. 이는 재스민의 대사에서 잘 드러난다. 그는 “여자는 술탄(왕)이 될 수 없다”는 아버지의 말에 “왜 안 되냐”며 반발한다. 얼굴만 잘생기고 어리석은 왕자와 결혼하느니 차라리 혼자이길 택하겠다고 외친다. 누구보다 능동적이고 진취적이다. 재스민은 백설공주, 신데렐라로 이어지며 오랫동안 수동적인 여성성을 재생산한다는 비판을 받아온 디즈니가 ‘인어공주’(1989), ‘뮬란’(1998), ‘겨울왕국’ 등을 통해 끊임없이 여성 캐릭터에 대한 변화와 진화를 모색하며 만들어낸 가장 최신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남자주인공과 로맨스를 벌이되 ‘로맨스의 해피 엔딩’이 아니라, 그것과는 별개로 자신의 성취를 이루는 ‘자아의 해피 엔딩’이다.

지니의 마법을 빌려 왕권을 빼앗으려는 악당 자파와 한판 대결을 벌이는 엔딩에서는 이 같은 성격이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더는 침묵하지 않겠다며 애니메이션엔 없던 노래인 ‘스피치리스(Speechless)’를 열창한다. 노래 가사엔 도발적이라고 할 만큼 확실한 자기주장이 담겨 있다. “그들이 내가 말하지 못하게 하거나 나를 막으려 해도/ 난 가만 있지 않을 거야∼/ 나를 틀에 가두려 하지마/ 나는 그냥 쓰러지거나 죽지 않아∼/ 나는 침묵하지 않을 거야/ 가만히 있지 않을 거야.”

애니메이션 속 재스민도 용감하고 씩씩한 캐릭터이기는 했다. 하지만 그가 원하는 궁극의 가치는 진정한 사랑을 얻는 쪽이었다. 왕이 되고 싶다거나, 나를 막아도 침묵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이진 않았다. 반면 영화 속 재스민은 국법이 정한 왕위 상속의 한계를 깨뜨려보겠다는 신념이 깔려 있다. 애니메이션엔 알라딘과 사랑을 속삭이는 테마곡 ‘어 홀 뉴 월드(A Whole New World)’는 있어도 재스민의 솔로곡인 ‘스피치리스’는 없다. 애니메이션과 실사 사이 27년 동안 바뀐 여성에 대한 시선, 젠더 감수성이 읽히는 대목이다.

엔딩을 다루는 과정에서도 재스민의 역할은 큰 차이를 나타낸다. 애니메이션 속 재스민은 자파의 마법으로 모래시계에 갇혔다가 알라딘의 도움으로 구조되는 수동적 성향을 보인다. 그러나 영화 속 재스민은 무시무시한 마법을 휘두르는 자파에 대항해 충신인 ‘하킴’에게 호소하며 왕에 대한 그의 충성심을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구조를 받는 수동적 입장이 아니라 당면한 문제를 직접 해결하려는 능동적 인물인 셈이다. 월트디즈니 측은 “나오미 스콧은 디즈니의 프린세스 중 가장 강렬한 자아 정체성을 보여주며 이 시대를 대변하는 진화한 여성상을 드러내고 있다”면서 “그가 부르는 ‘스피치리스’는 영화 ‘겨울왕국’의 ‘렛 잇 고(Let It Go)’와 비견할 정도로 시대에 맞는 비전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김인구 기자 clark@munhwa.com

[문화닷컴 바로가기|문화일보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모바일 웹]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